본문 바로가기

성공재테크/Nice은퇴플랜

매달 수입이 있도록 노후 설계를 해야 한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매달 수입이 있도록

노후 설계를 해야 한다

 

매달 돈 나올 5곳 만들어라!

 

그동안 재테크는 말 그대로 돈을 모으는 기술이었다. 금리가 높았기 때문에 목돈을 굴릴수록 유리했다. 부동산 불패 신화도 통했다. 그러나 반퇴 시대엔 더 이상 이런 공식이 작동하지 않는다. 재산을 은행예금과 부동산만으로 굴려선 30년 반퇴 시대를 건널 수 없는 것다.

 평균적인 50대 한국인 김한국(55·가상 인물)씨 사례를 보자. 재산(총재산-부채)은 ‘삼성생명 은퇴백서’ 설문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50대 평균 순자산(45077만원)을 감안해 5억원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이 돈을 모두 노후설계에 쓸 순 없다. ▶통계청이 조사한 50대 평균 자녀 교육비 5년치(2500여만원)와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아들·딸 2인의 평균 결혼비용 25000여만원을 빼니 22500만원이 남았다.

 

삼성생명 설문조사에 따르면 퇴직자 월평균 생활비는 238만원이었다. 은행 예금금리는 지난해 11월 평균치인 연 2.1%,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1.3%를 적용했다. 이를 토대로 추산해보니 김씨는 부동산까지 모두 노후자금으로 투입한다고 해도 9년 뒤면 빈털터리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비 등 예상치 못한 지출은 감안하지 않은 결과다. 물론 62세가 되는 7년 뒤부터는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현 상태로는 30년을 버티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5억원 대신 50대 평균 순자산 45077만원을 적용하면 반퇴 자산은 17500만원으로 줄어 생활비 고갈 시점도 ‘7년 뒤’로 더 앞당겨진다. 김씨가 교육비나 결혼자금을 한 푼도 안 쓴다고 해도 은행예금에만 넣어두면 16년밖에 못 버틴다. 부동산을 팔거나 주택연금의 담보로 넣지 않는다면 생활비 소진 시점은 훨씬 빨리 온다.

 

지금까지는 부모가 살던 집 한 채는 유산으로 여겨 정리하지 않았지만 이젠 유산이 아니라 노후설계에 투입할 가용자원으로 인식을 바꿔야 한다. 재테크 공식이 바뀐 만큼 은행 예·적금과 부동산에 대한 집착도 버려야 하지만 국내에선 여전히 부동산 역모기지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다. 이를 바꾸지 않고선 반퇴 시대 노후설계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위험 부담을 안고 투자에 나서는 것도 불가피해졌다. 시뮬레이션 결과 45077만원으로 30년을 쪼개 쓰자면 최소한 수익률이 연 6.6%는 돼야 한다. 은행 예·적금으론 불가능해 중위험·중수익 투자상품이나 해외 투자로 눈을 돌려야 한다. 긴 기간 동안 돈을 분산시켜 수입이 끊기지 않게 관리하는 기술도 중요해졌다.

 

매달 일정액의 생활비가 꾸준히 월급처럼 손에 들어올 수 있도록 ‘돈의 흐름’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상당수의 50대가 옛 방식의 재테크를 고집하는데 이러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 ‘세상이 달라졌고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는 자세를 갖지 않으면 30년 반퇴 시대를 넘기기 어렵다.

 

모으는 재테크의 핵심이 은행 예·적금과 부동산이었다면 잘 쓰기 위한 재테크의 무기는 연금과 보험이다. 반퇴 30년을 건너가자면 가진 재산을 최대한 가늘고 길게 쪼개 수입이 끊기지 않고 들어오게 만드는 게 관건이기 때문이다. 본지가 4개 은행과 4개 증권사 퇴직설계 책임자에게 30년 반퇴설계에 가장 적합한 상품을 추천해 달라고 의뢰하자 연금이 으뜸으로 꼽혔다.

 

특히 ‘3층 연금’으로 부르는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은 반퇴설계의 기본이다. 향후 반퇴설계의 핵심은 반퇴 후 30년의 긴 세월 동안 매달 일정액의 돈이 들어올 수 있도록 잘 배치하는 것. 매달 고정적으로 돈을 받을 수 있는 연금은 겨울철의 내복처럼 퇴직 이후 생존을 책임지는 최소한의 보호장치.

 


 상수(
常數)인 국민연금과 달리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은 변수(變數). 어떤 상품으로,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개인연금의 대표 상품인 연금저축계좌는 연령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5년 이상만 유지하면 만 55세 이후부터 투자 원금과 수익을 연금으로 나눠 받을 수 있다. 50대 퇴직자가 국민연금을 받는 62세까지 소득이 끊기는 ‘퇴직 크레바스’를 메우는 데 가장 유용하다. 연금저축보험(보험사)에 가입하면 된다.

 퇴직연금은 몇 가지 종류가 있다. 확정급여(DB)형은 예금과 비슷하지만 확정기여(DC)형은 투자상품과 유사해 개인이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최근에는 개인형퇴직연금(IRP)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금까지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을 더해 연 4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 혜택을 줬지만 올해부터 퇴직연금 추가금에 한해 300만원을 더 세액공제해 준다. 700만원 한도를 꽉 채우면 연말정산 때 924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

 

신상근 삼성증권 은퇴연구소장은 “IRP는 향후 반퇴설계를 위한 핵심 상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인수 미래에셋증권 연금센터장은 IRP 자금 운용을 어려워하는 소비자에게 금융사가 대신 운용해 주는 ‘퇴직연금 랩어카운트’ 이용을 권했다.

 

 

 


주택연금은 집을 국가에 담보로 잡히고 매달 연금을 받는 상품이다.
즉시연금은 주택 대신 목돈을 예치하고 연금을 받는 상품이다.

 적어도 퇴직 5년 전부터는 보험도 리모델링해야 한다. 앞으론 자녀의 봉양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자신의 노후에 생길 수 있는 질병이나 사고는 보험으로 대비하는 게 좋다. 그중에서도 70대 이후 병원비 부담을 덜어줄 질병·상해보험은 필수다. 다만 만기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현재 가입한 상품의 만기가 언제까지인지 확인해 너무 짧다면 다른 상품으로 갈아탈 필요가 있다. 실제 쓴 치료비를 보상해 주는 실손의료보험도 필수품이다. 그러나 중복 가입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실손의료보험은 여러 개를 가입해도 실제 쓴 치료비만큼만 보상해 주기 때문에 보험료 낭비가 될 수 있다.

 

의료비 보장과 매달 받는 연금설계는 은퇴자의 필수품이다!! 아직 준비하지 못했다면 전체적인 자산리모델링을 통해 꼭 준비하도록 하자!! (2015.1.16 중앙일보 기사를 보고 느낀 소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