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금의 모든 것/개인연금

자식에만 올인하면 노후가 불행하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자식에만 올인하면 노후가 불행하다!

 

 

우리나라 40대의 절반 이상이 자녀 교육비를 지출 1순위로 꼽았다. 반면 6.2%만이 노후자금 마련을 우선순위로 선택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서울·광역시 거주 성인 2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자식 교육에 올인하다 반퇴(半退)한 후 대책 없는 노후를 맞는 중년세대의 불행한 자화상이다. 자녀가 대학에 입학했다고 끝난 게 아니다. 40·50대의 과반수는 성인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취업난으로 자녀의 경제적 독립이 늦어지며 취업 준비 비용과 생활비를 대야 하기 때문이다. 자녀에게 모든 것을 쏟아부은 중년세대의 노후는 빈곤할 수밖에 없다. 이미 주변에선 자녀 교육비와 결혼비용을 대는 데 여유자금을 다 쓰고 일용직에 나서는 노인세대를 흔히 볼 수 있다. 마치 부화한 새끼들의 먹잇감으로 자기 몸까지 내어주는 어미 거미의 운명과 비슷하다.

 예전에는 자식 교육만 잘 시키면 대부분 노후가 편안했다. 자녀들이 봉양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중년세대는 그런 기대를 아예 접는 것이 현명하다. 1980년대 우리나라 노인들은 노후 수입원 중 자녀의 도움이 70%를 넘었다. 지금은 30%로 낮아졌다. 현재 중년세대가 노인이 되는 미래엔 미국이나 일본처럼 자녀 도움이 거의 없어질 게 분명하다.

 

믿었던 국민연금도 이들이 살아 있을 때 바닥이 드러날 전망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53년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추계했다. 아득히 먼 장래 같지만 지금 40대가 80대에 겪게 될 일이다. 쌓아놓은 공적연금마저 없어지는 마당에 국가에 노인 생계를 지원할 재정여력이 있을 리 없다.

 결국 개인이 현명하게 노후를 대비하는 수밖에 없다. 일본은 출산연령이 늦어지면서 은퇴가 다가온 50대 때 자녀 교육비 부담이 가장 커진다고 한다. 저출산·고령화 속도가 일본보다 빠른 한국의 40대는 지금처럼 교육비를 쓸 경우 반퇴시기인 50대에 가혹한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지출은 늘어나는데 수입은 확 줄어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40대의 가처분소득 중 교육비 지출 비중은 미국의 7배나 된다. 교육비 지출이 훨씬 적은 미국도 과도한 자녀 교육비 부담이 중산층 몰락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물며 자녀 교육에 올인하는 한국 중산층의 미래는 더 어둡다. 지금 안정된 중산층이라 하더라도 은퇴 후 빈곤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빈곤한 노후를 맞지 않으려면 중년세대는 지출, 특히 교육비를 줄여야 한다. 교육비 비중을 소득의 20% 정도로 확 낮추는 게 필요하다. 자녀 교육비를 절약해 생긴 여유자금은 개인연금이나 자신의 교육비로 투자하는 게 좋다. 고령화로 지금 중년 세대는 교육-취업-반퇴-재교육-재취업-완퇴(
完退)의 라이프 사이클을 밟을 것이기 때문이다.

 

노인이 돼서도 괜찮은 일자리를 가지려면 중년 때 인생 후반전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녀 결혼비용도 마찬가지다. 자식에 대한 의무감, 혹은 체면 때문에 노후를 위한 최후의 종잣돈을 날리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

 

지나친 자녀교육비나 결혼비용을 조금만 줄이고 연금을 준비한다면 노후가 이처럼 불안할 리가 없다. 준비한 자만이 누릴 수 있다. 실천한 자 만이 얻을 수 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우선 자신을 위한 준비부터 서두르자!! (2015.2. 26 중앙일보를 읽고 느낀 소감)

 

.......................................................

 

자녀 교육비는 못 줄인다는 학부모님께

 

같은 심정일지 모르겠습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학부모 다수가 사교육 투자에 대한 고집은 못 꺾겠다고 했으니까요. 교육비를 대느라 주부 생활 20년 만에 맞벌이에 나선 김모(48·경기도 용인)씨는 “못 먹어도 자식 교육비는 대줘야죠. 폐지라도 줍겠어요”라고 했습니다. 본지의 ‘노후 위협하는 사교육비’ 시리즈 기사에는 “교육비만큼은 못 줄인다”는 댓글이 줄줄 달렸습니다. 학부모들이 많이 모이는 인터넷 카페에선 “남들 다 하는 사교육 따라잡는 데만도 비용이 후덜덜한데 노후 대비가 웬 말이냐”는 글이 많았습니다.

 마음이 무거워짐을 느끼면서도 전문가들의 조언을 다시금 꺼냅니다. 사교육비를 월 소득의 20% 이하로 줄이셔야 합니다. 줄인 돈으로 국민연금·퇴직연금에 개인연금까지 ‘노후 대비 3종 세트’부터 챙기세요. 그리고 자녀와 교육비와 노후 준비에 대해 소통하셔야 합니다.

 지금부터 사교육비 다이어트를 하지 않으면 무엇보다 학부모님의 노후가 불투명합니다. 중소기업 은퇴 후 3년째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는 장모(61·서울 강서구)씨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그는 “대학까지 교육비로 1억원 넘게 들여 취업시킨 큰딸이 결혼 혼수비를 요구했을 땐 솔직히 섭섭했습니다. 하지만 ‘무능한 아빠’ 소릴 들을까 봐 말리기 어려웠죠”라고 털어놨습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은퇴자 518명을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도 54%가 “현재 돈으로 생활하기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이 연구소 윤원아 책임연구원은 “40대 지출 1순위를 차지하는 교육비부터 줄이지 않고선 해답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자녀에게 투자한 만큼 못 거둔다는 사실도 이제는 받아들여야 합니다. ‘사교육비 투자→명문대 입학→대기업 취직’ 공식을 깨뜨리는 극심한 취업난 때문입니다. 지난해 4년제 대졸자 취업률은 55%입니다. 무엇보다 부모가 자식을 기르고, 자식이 부모를 부양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통계청이 매년 실시하는 20대 설문조사에서 “노부모를 부양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2002 67%에서 지난해 34%로 뚝 떨어졌습니다.

 앞으로도 지금처럼 자식 교육에 ‘올인’하겠다면 말리진 않겠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교육비를 쏟아부으면서 ‘윤택한 노후’까지 기대할 순 없을 겁니. 더 씁쓸한 얘기를 전해드릴까요. 취재 과정에서 만난 20대 학생 대부분은 “부모님의 노후에 대해선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교육비에 올인하는 건 노후는 물론 자녀의 독립심마저 잃는 결과를 가져올지 모릅니다. 노후는 여러분 스스로 챙겨야 합니다. 30대 초반인 기자도 어제 은행에 들러 개인연금에 가입했습니다. (중앙일보 2015.2.27 김기환 사회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