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사자성어
우국충정(憂國衷情)
憂 근심 우 國 나라 국 衷 진실로 충 情 정 정
나라의 일을 근심하고 염려하는 참된 심정.
고전 시가와 우국충정
우국충정은 나라를 근심하고 염려하는 참된 마음이라는 뜻이다. 유학의 3대 덕목이 ‘충·효·의’이기 때문에 우국충정에 관한 고전 시가는 매우 많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이다. 〈사미인곡(思美人曲)〉은 송강 정철이 50세가 되던 해에 조정에서 물러나 4년간 전남 담양에서 은거하며 있을 때 지어진 작품으로, 이 작품은 뛰어난 우리말 구사와 세련된 표현으로 우리 나라의 가사 작품 중에 걸작으로 꼽힌다. 임금을 연모하는 마음을 읊은 노래이기 때문에 왕에게 자신의 처지를 알리기 위해서 여성의 목소리를 채택하여 더욱 절실하게 표현하고 있다. 임금을 사모하는 신하의 마음을 남편과 생이별한 한 여인의 그리움으로 바꾸어 계절의 변화에도 한결같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모두 63절(행) 126구로 이루어진 이 가사는 전체의 구성이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사의 속편으로는 〈속미인곡(續美人曲)〉이 있다.
우국충정에 관한 시조로 유명한 것은
백설(白雪)이 잦아진 골에 구루미 머흐레라
반가온 매화(梅花)는 어느 곳에 피엿는고
석양(夕陽)에 홀로 셔 이셔 갈 곳 몰라 하노라.
라는 목은 이색의 작품이 있다. 이는 고려의 유신으로 기울어 가는 국가의 운명을 바라보면서 그 안타까운 심정을 자연물에 빗대어 형상화한 작품이다. 조선 건국을 위한 신흥 세력은 날로 팽창하고 고려 왕조는 점점 기울어져만 가는 상황속에서, 우국지사를 기다리는 지은이의 애타는 심정이 우의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말선초의 역사적 전환기에 선 지식인의 고뇌가 비유와 상징을 통해 짧은 시구 속에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이 시조에서 ‘백설’은 ‘고려 유신’을 ‘구룸’은 신흥 세력인 ‘이성계 일파’를, ‘매화’는 ‘우국지사’를, ‘석양’은 ‘기울어 가는 고려’를 상징한다.
여말의 목은 이색의 작품만큼이나 유명한 우국충정을 읊은 시조는 병자호란 때 김상헌의 시조가 있다.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고국 산천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시절이 하 수상하니 올동말동 하여라.
이 시조는 김상헌이 병자호란 후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과 함께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면서 읊은 시조로서 청나라로 끌려가는 작자가 조국을 떠나면서 그 서글픈 우국의 정과 비분강개한 심정을 노래했다. ‘삼각산’과 ‘한강수’는 조선의 왕도를 상징하는 것이다.
한산셤 달
큰 칼 녀픠
어듸셔 一聲胡笳(일성 호가)
이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시조로 다가올 국난을 걱정하는 작자의 애끓는 심정이 절절한 시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진중시는 남아의 기개나 우국충정의 마음을 읊은 것이 특히나 많다.
우국충정과 관련된 한자성어
犬馬之勞(견마지로) :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 자기의 노력을 겸손히 일컫는 말.
犬馬之忠(견마지충) :
개나 말처럼 자기의 몸을 아끼지 않고 바치는 자기의 충성.
爲國忠節(위국충절) :
나라를 위한 충성스러운 절개.
一片丹心(일편단심) :
한 조각 붉은 마음, 즉 진정, 진심, 충성심.
盡忠保國(진충보국) :
충성을 다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함.
麥秀之嘆(맥수지탄) : 조국이 멸망한 것을 한탄함. 고대 중국의 은나라 마지막 왕인 주(紂)는 여러 사람의 충고를 듣지않고 주색에 빠졌다가 결국은 주나라 무왕에게 죽음을 당하고 은나라는 멸망하였다. 훗날 주의 삼촌뻘 되는 기자가 은나라의 옛 도성을 지나다가 맥수지시를 지어 읊으며 그 사실을 슬퍼하였다는데서 유래되었다.
黍離之歎(서리지탄) : 세상의 성함과 쇠함이 서로 바뀌어 무상함을 탄식한다는 뜻이다. 주나라가 수도를 옮기고 나서 대부들이 옛 도읍을 찾아왔을 때 주나라의 종묘와 궁궐은 없어지고 그곳에 기장이 자란 모습을 보며 주나라의 왕실 권위가 땅에 떨어짐을 슬피 여기면서 떠나지 못하고 한탄하였다는데서 유래한 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전 시가와 우국충정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12.15, 청서출판)]
'성공재테크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록위마(指鹿爲馬 )-오늘의 사자성어 (1) | 2014.09.19 |
---|---|
동가홍상(同價紅裳)-오늘의 사자성어 (0) | 2014.09.17 |
토사구팽(兎死狗烹)-오늘의 사자성어 (0) | 2014.09.15 |
엄부자모(嚴父慈母) -오늘의 사자성어 (0) | 2014.09.15 |
견마지로(犬馬之勞)-오늘의 사자성어 (0) | 2014.09.14 |
등화가친(燈火可親)-가을과 연관된 사자성어 (0) | 2014.09.12 |
출필고반필면(出必告反必面)-오늘의 사자성어 (2) | 2014.09.11 |
영구업다 (營求業多)- 재미난 사자성어 (0) | 2014.09.10 |
안빈낙도(安貧樂道)-오늘의 사사성어 (0) | 2014.09.08 |
천고마비(天高馬肥)-오늘의 사자성어 (0) | 201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