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공재테크/사자성어

지통재심 [至痛在心]-오늘의 사자성어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사자성어

 

지통재심 [至痛在心]

 

至 이를 지 痛 아플 통 在 있을 재 心 마음 심

 

 

 

지극한 아픔이 마음에 있는데 시간은 많지 않고 할 일은 많다는 것을 비유한 말.

조선조 효종8(1652) 임금은 청나라의 압력으로 영의정에서 물러나 부여에 낙향하고 있는 백강 이경여 선생의 북벌계획 추진에 관한 상소에 다음의 글로 답하였다

 

誠以至痛在心(성이지통재심) 有日暮途遠意(유일모도원의)

정성을 다하여 바른 뜻을 이루고자 하나 (어려운 현실로 인하여) 지극한 아픔이 가슴에 있는데날은 이미 저물고 성취를 향한 길은 멀기만 하구나 !

 

병자호란 패전후 소현세자, 봉림대군(훗날의 효종)과 백강 이경여 선생, 청음 김상헌 선생 등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갖은 고초를 격고 귀국하신 후에, 봉림대군이 효종으로 등극 하시고 백강 이경여 선생은 영의정이 되어 은밀히 북벌계획(北伐計劃)을 도모하시었습니다.

 

그러나 척화신을 배격하는 청의 압력으로 백강 이경여 선생은 현직에서 물러나시어 백마강변의 백강마을로 낙향하시게 되면서 후사를 우암 송시열 선생에게 위탁하시게 되었고, 이후 백강 이경여 선생이 효종에게 북벌계획 추진에 관한 상소를 올리자, 당시의 상황이 매우 어려운바 효종임금이 필생의 뜻을 이루지 못하는 아쉬움을 위의 글로 답하고 있는데, 이는 이어 있을 효종의 승하로 인한 북벌 계획의 실패를 예고하고 있는 듯도 합니다.(이글은 훗날 우암 송시열선생이 “至痛在心 日暮途遠”으로 줄이어 쓰고 소재 이이명 선생이 백마강변 대재각내 바위에 새겨 놓았는데,  이후 이 글귀는 줄곳 북벌계획을 상징하는 말로 쓰이어 왔음)

 

여기에서 우리는 효종대왕과 백강 이경여 선생 우암 송시열 선생 등이 필생의 과업으로 여긴 북벌계획을 이루지 못하고 지극한 아픔과 한()을 가슴에 품고(至痛在心) 이 세상을 떠나는 모습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에 후손인 우리들은 이를 거울삼아 이러한 회한의 한평생을 마감하지 아니하도록 삶의 좌표를 바르고 명료하게 정립하여가고 부지런히 실천하여가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세를 넘어 내세에서까지도 이루는 삶의 비젼(Vision)을 바라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성리학도 이러한 내세에서의 비젼을 바라보는 데에 더욱 정진하여야 하리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기독교의 무서운 힘의 원천은 바로 이 내세에 대한 확고한 비젼과 소망을 심어 줌으로 인하여 현세의 모든 문제와 고난들을 기쁘고 평안한 마음으로 극복하여 가도록 하는 데에 있다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