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공재테크/호프만칼럼

행복 찾으면서 왜 남의기준에 맞출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행복 찾으면서

왜 남의기준에 맞출까

 

 

농경문화를 별안간 대체한 산업문화, 과도한 경쟁, 범죄의 증가, 도덕적 타락. 엄정식(73)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가 그리스 아테네와 현대 한국의 유사성으로 보는 점들이다. 엄 교수는 “갑자기 부자가 된 것, 집단적으로 안게 된 정신적 문제 등에서 우리 사회는 고대 아테네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고 말했다. 그가 현재를 ‘격동의 시대’로 정의한 이유다. 시대 인식은 최근 낸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세창출판사)의 전제가 됐다.

 소크라테스는 바로 이러한 때에 “너 자신을 알라”고 했다. 엄 교수는 “많이 알려져 있는 말이지만 전거가 약하고 설명이 부족해 뜻을 이해하기 힘들다”며 “하지만 당시 아테네와 비슷한 현재 우리의 상황에 비춰 철학적으로 해석해보면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세계 문화사에서 유례가 없는 격랑의 시대에는 자아를 인식하는 것이 가장 먼저다”라고 했다. 소크라테스의 현대적 해석이다
.

 자아 인식의 방법은 뭘까. 이런 시대에는 많은 이가 행복을 찾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이 바라는 행복은 차라리 쾌락에 가깝다. 언제나 남의 기준에 맞춰 행복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그 다음으로 자기 능력을 알고, 의무 또한 깨달아야 한다
.

 엄 교수는 욕구·능력·의무를 ‘자아의 삼각형’이라고 했다. 스스로를 크고 멋있는 삼각형이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작더라도 잘 여며진 삼각형으로 만들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다 보면 행복은 그림자처럼 따라온다.” 엄 교수가 소크라테스뿐 아니라 니체·헤겔·푸코를 끌어들여 도달한 결론이다
.

 

 



 책은 2010년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한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에서 엄 교수가 강의한 내용이다. 엄 교수는 언어분석철학 전공이다. 하지만 이 강좌와 책에서만큼은 지금껏 접하고 영향 받은 동서양 철학을 집대성해 일반인이 공감할 만한 결론을 내렸다. 당시 강좌에는 문학·자연과학·종교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강의를 듣고 함께 토론했다. 엄 교수는 “일반대중도 들을 수 있는 강연이었지만 나에게는 가장 어려운 강의였다”며 “책 또한 생애 마지막으로 내는 책이라 생각하고 이 땅에서 철학도로 사는 의미를 담고자 했다”고 말했다.

 

남이 행복한 그 이유로 나도 행복한 것일까. 아니다. 내가 행복해 할 이유는 따로 있다. 나만의 행복을 찾아나서자! 내가 행복해야 세상이 행복하게 보일테니까...

(2015.7.1 중앙일보 기사를 읽고 느낀 소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