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생활/좋은 글

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입상진의(立象盡意) 란 말이 있습니다. '형상을 세워서 뜻을 전달한다'는 의미입니다. 중국 송나라의 황제 휘종은 훌륭한 화가였고 그림을 아주 사랑했습니다. 그래서 자주 궁중에 화가들을 초대하여 그림 대회를 열었습니다. 그때마다 황제는 직접 그림제목을 정했는데, 보통은 유명한 의 한 구절을 따오거나 자신이 제목을 내걸었습니다.

 

한 번은, '꽃을 밟고 돌아가니 말발굽에서 향기가 난다.'였습니다. 그러니까 황제는 화가들에게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를 그림으로 그려보라고 한 것입니다모두들 그림에 손을 못대고 쩔쩔매고 있을 때 한 젊은이가 그림을 제출하였습니다. 사람들의 눈이 그 그림위로 쏠렸습니다. 말 한 마리가 달려가는데 그 꽁무니를 나비떼가 뒤쫓아가는 그림이었습니다. 젊은 화가는 말을 따라가는 나비 떼로 꽃향기를 표현했습니다. 나비 떼라는 형상으로 말발굽에 묻은 향기를 충분히 전달하였던 것입니다.

 

 

어느 날 황제 휘종은, '어지러운 산이 옛 절을 감추었다.'는 화제(畵題)를 내놓았습니다. 이번에도 화가들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어떻게 그려야 할것인가? 얼마후 한 화가가 그림을 들고 나왔습니다. 그런데 그의 그림은 다른 화가의 것과 달랐습니다. 우선 화면 어디에도 절을 그리지 않았습니다. 대신 깊은 산속 작은 오솔길엔 스님 한 분이 물동이를 이고서 올라가는 모습을 그려 놓았을 뿐이었습니다

 

황제는 흡족한 표정을 지었습니다.

" 스님이 물을 길으러 나온 것을 보니, 근처에 절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구나. 그런데 산이 너무 깊어서 절이 보이지 않는 게로구나. 그가 비록 절을 그리지 않았지만 물을 길으러 나온 스님만 보고도 가까운 곳에 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않겠느냐?"

이 화가는 절을 그리지 않으면서 절을 그리는 방법을 알았던 것입니다.

 

구한말의 유명한 화가 허소치(許小痴)가 고종 앞에 불려 갔는데, 고종은 그를 골탕 먹이려고 남녀가 사랑을 나누는 춘화도(春畵圖)를 한 장 그려 바칠 것을 명하였습니다. 얼마 후 소치가 그려 바친 것은, 깊은 산 속 외딴 집 섬돌 위에 남녀의 신발이 한 켤레 씩 놓여진 그림이었습니다. 환한 대낮, 닫혀진 방 안에서 청춘남녀가 무엇을 하고 있을 것인가? 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고,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것입니다.

 

제나라 환공이 누각 위에서 책을 읽고 있을 적에 그 아래서 수레 바퀴의 굴대를 끼우던 윤편이 임금께 물었습니다. "전하! 지금 읽고 계신 것이 무엇입니까?" "옛 성인의 책이니라." "그 분은 지금 살아 계신가요?" "죽었지." "그렇다면 전하께선 옛 사람의 껍데기를 읽고 계신 거로군요."  제환공은 화가 났습니다. 윤편의 수작이 방자하기 그지 없었던 것이지요. "네 이놈! 무엄하구나. 그 말이 무슨 뜻인가. 까닭이 있으면 살려 주려니와, 그렇지 않다면 살려두지 않으리라."

 

윤편이 대답했습니다.

"저는 저의 일을 가지고 판단할 뿐입니다. 제가 바퀴를 끼운 것이 지금까지 수십년입니다. 그런데 굴대가 조금만 느슨해도 금새 빠져 버리고, 조금만 빡빡해도 들어가질 않습니다. 느슨하지도 빡빡하지도 않게 하는 것은 제 마음과 손으로 느껴 깨달을 뿐이지요. 그 이치는 제 아들 녀석에게도 가르쳐 줄 수가 없고, 전하께도 알려 드릴 수가 없습니다. 옛 성인들이 하고 싶은 말이 있었다 해도, 그가 죽으면서 그 말은 다 없어지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러니 전하께서 읽으시는 것은 옛 사람의 껍데기일 밖에요."

 

윤편이 수레 바퀴를 깎는 그 미묘한 기술을 어떻게 언어로 전달할 수 있겠습니까? 언어란 이렇게 불완전합니다. 언어는 뜻을 온전하게 전달할 수 없다는, 이른바 `언불진의(言不盡意)`의 생각은 고대로부터 널리 인식되어 왔습니다. 공자께서는 "글은 말을 다하지 못하고, 말은 뜻을 다하지 못한다. (書不盡言, 言不盡意)"고 했습니다.

 

거문고의 대가 백아(伯牙)가 처음 거문고를 배울 때의 이야기입니다. 성련에게서 3년을 배운 백아는 연주의 대체를 터득하였으나, 정신을 텅비게 하고 감정을 전일하게 하는 경지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였습니다.

성련은 "내가 더 이상은 가르칠 수 없겠구나. 내 스승 방자춘이 동해에 계시다." 하고는 그를 따라 오게 하였습니다. 봉래산에 이르러 백아를 남겨두고 "내 장차 내 스승을 모셔 오마."하고는 배를 타고 떠나가 열흘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백아는 너무도 슬퍼, 목을 빼어 사방을 둘러 보았지만 단지 파도 소리만 들려올 뿐, 숲은 어두웠고 새 소리는 구슬펐습니다. 그때 백아는 문득 스승의 큰 뜻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말하였습니다. "선생님께서 장차 내게 정을 옮겨 주신 게로구나."하고는 거문고를 당겨 노래를 불렀습니다.

 

마지막,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는 깨달음은 말로는 가르쳐 줄 수가 없습니다. 마음으로 깨달아 가슴으로 느껴야 합니다. 성련은 마지막 단계에서 백아가 강렬한 바램을 가지고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게 함으로써, 말로는 도저히 전해줄 수 없었던, 마음을 전일하게 하는 최후의 심법을 전수해 주었던 것입니다.

 

득어망전(得魚忘筌)이란 말이 있습니다. 고기를 잡으면 고기를 잡던 통발은 잊는다는 말로, 뜻을 이루면 그 뜻을 이루기 위해 사용한 수단은 버리게 된다는 뜻입니다.

《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통발은 물고기를 잡는 도구인데,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잊어버리고 만다. 올가미는 토끼를 잡는 도구인데, 토끼를 잡고 나면 올가미는 잊어버리고 만다. 이처럼 말이란 마음속에 가진 뜻을 상대편에게 전달하는 수단이므로 뜻을 얻으면 말은 잊어버리고 만다. 뜻을 얻고 말을 잊어버린 사람과 말하고 싶구나(筌者所以在魚 得魚而忘筌 蹄者所以在兎 得兎而忘蹄 言者所以在意 得意而忘言 吾安得夫忘言之人 而與之言哉).'

 

위의 글에서 망전(忘筌)이나 망제(忘蹄), 망언(忘言)은 모두 시비(是非), 선악(善惡)을 초월한 절대 경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득어망전이란, 진리에 도달하면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한 모든 수단을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불경의 하나인 《사유경(蛇喩經)》에 보면 다음과 같은 비유가 나옵니다.

 

"비구들이여, 나는 너희들에게 집착을 버리도록 하기 위해 뗏목의 비유를 들겠다. 어떤 나그네가 긴 여행 끝에 바닷가에 이르렀다. 그는 생각하기를 바다 저쪽은 평화로운 땅이니 그리 가야겠다 하고 뗏목을 만들어 무사히 바다를 건넜다. 바다를 무사히 건넌 이 나그네는 그 뗏목을 어떻게 하겠느냐? 그것이 아니었으면 바다를 건너지 못했을 것이므로 은혜를 생각해 메고 가야겠느냐? 아니면, '이 뗏목 때문에 나는 바다를 무사히 건넜다. 다른 사람들도 이것을 이용하도록 여기에 두고 나는 내 갈길을 가자' 하겠느냐. 이 나그네는 뗏목을 두고 가도 그의 할 일을 다한 것이 된다. 너희들도 이 나그네가 뗏목을 잊은 것처럼 궁극에는 교법마저 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 절대 경지에 들어서면 수단은 물론이거니와 절대 경지에 들어섰다는 것마저 잊으라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득어망전이란, 자기의 뜻한 바를 이룬 후에는 그 수단이나 과정에 대하여는 애착을 갖지 말라는 의미이며 `득의망언(得意忘言)`, 즉 뜻이 전달되면 그 뜻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말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뜻을 얻었거든 말을 잊으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지이표월혜, 월부재지(指以標月兮, 月不在指)

언이설법혜, 법부재언(言以說法兮, 法不在言)

“손가락으로써 달을 가르키되, 달이 손가락에 있지 않고

말로써 법을 설파하되, 법이 말에 있지 않다.

수단과 목적을 혼동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좋은 글들을 주고 받지만 실제로는 글이 아니라 정을 주고 받는 것이며 우리 삶의 목표가 돈인 듯 하지만 실제로는 돈이 아니라 가족의 화목이어야 하지 않을까요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고,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것입니다!!

 

-옮긴 글-